필터?
무슨 필터가 이렇게 많아?
이게 다 필요한 거야?
이렇게 많은 필터를 언제 다 써봐?
도대체 필터를 왜 쓰지?
설명을 대충 보니까 쓰임새가있기는 한것 같은데...
그렇지만 용도에 맞춰서 필터를 몽땅 준비해야 한다면 필터만 들고 다녀도 가방이 꽉 차겠는걸.
필터 전담 조수를 두던지...
1. 무엇이든지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하다.
적절하지 못하게 마구 사용하거나너무 티가 나면 오히려 유치해 진다.
그러나 필터를 잘 사용하면 자신만의 독특한 세계를 새롭게 구축할 수도 있다.
2. 칼라사진에서 필터를
필터를 적절하게 사용하여주제를 강조하거나 적합한 색을 덧잎힘으로서 표현의 한계를 극복할 수도 있다.
국내 모 풍경사진작가는 칼라 사진에 반드시 필터를 사용하여 촬영을 한다.
비가 오거나 이른 새벽등 극단적인광선 조건 아래에 놓인 대상물을 일반적인 색으로 재현하기 위해서는 색조절필터가 반드시 필요하기때문이다.
그는 자신이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오로지자신이 선택한 조건에서 자신 만의 감각으로 빛으로그리는 그림인양 사진을 찍는다.
그 결과물은 너무나 일반적인 광선아래에서의 진과 흡사하여,
어떤 필터를 사용해서 사용했는지 제대로 알기 어렵다.
때에따라서는 정밀묘사 그림이 실제보다 더욱 실감나는 것처럼 필터를 이용한 그의 사진은 오히려 더욱 자연스럽고 실감이 난다.
3. 흑백사진에서의 경우
모처럼 나선 촬영길에서일기나 광선, 피사체의 질감이나 색감등이 사진가의 마음 먹은대로 완벽하게 맞아 떨어주는경우는 아마 없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시중에 나와있는색깔필터들의 대부분은 원래 흑백사진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자연이나 인물의 몇가지 상황을 전제로 하여 원래의 톤을 강하게 또는 약하게 해주기 위해 사용한다.
흑백사진에 왜 칼라 필터가 필요할까?
필터는 필터의 색깔과 같은 색을 가장 잘 투과시켜 필터와 꼭같은 색은흰색과 구별조차 할 수없게 만든다.
그 반대로 보색의 경우는빛의 투과를 방해하여 더욱 짙은 색으로 나오게 해준다.
4. 필터의 구별
1) 조절용 필터 : 색의명암감을 고르고 필름의 감색성을육안의 느낌에 가깝게 한다. (색감의 교정을 목적으로 함)
2) 강조용 필터: 특정한 색광만을 투과시켜다른 색광을 강하게 흡수, 육안의 느낌 이상으로 강조, 표현한다.(콘트라스트 강조)
3) 효과용 필터 : 필터로 인해 실제로 불가능한 효과까지 가능케 해주는 효과를 낸다.
5. 왜 필터를 사용하는가?
1) 정색묘사 : 광원의 각기다른 색온도에 의해 화사의 색이 변화하는 현상을 교정하기 위해 사용.
2) 광선차단 : 풍경, 설경,원경등 자외선 또는 단파장으로 인한 좋지 못한 작용을 막아 바른 계조와 디테일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
3) 원경묘사 : 피사체가 극히 원경인 경우 빛의 분산, 굴절이 심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장파장만을 이용해서 찍으면 원거리의 물체를 선명하게 찍을 수 있는데 이를 목적으로 사용.
4) 특수효과 : 우리가 시각적으로볼 수 없는 분위기의 묘사나 특수한 효과를 연출하기 위해 사용한다.
6. 노출배수
필터는 렌즈를 통과하게 될 빛의 양의 일부를 흡수 하거나 제한하기 때문에보통의 촬영때 보다 더 많은 노출을필요로 한다.
이때 증감되는 노출의 양을수치화 한 것이필터계수 또는 필터의 노출배수 라고 한다.
이수치는 각 필터마다 표시되어 있으며, 노출배수가 1이면노출의 증감이 필요 없음을 이야기하며,
노출배수가 4이면 4배의 빛의 필요하므로 조리개나 셧터의 2스톱을 더 열어 주어야 한다.
7. 필터를 사용할때의 주의사항
1) 필터의 사용은 가능한 한 신용있는 회사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으며, 렌즈앞에 바로 꽂아서 사용한다.
2) 노출의 측정은 TTL식인 경우필터를 앞에 부착한 후 측정되는 노출이 적정노출이며노출배수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노출계를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필터의 노출배수를 계산해 주어야 한다.
3) 비네팅(Vignetting)에 주의 한다.
필터를 여러가지 겹쳐서 사용하는 경우 밖으로 끼는 필터의 테가 필름에 비치는광선을 가릴 수도 있으며
특히 광각렌즈일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4) 사진가가 필터의남용에 따른 상이한 결과에 너무 집착하는 것은 보다 좋은 사진을 위해 간혹 걸림돌이 되기도 하므로,
지나치게 사용하는 것은 좋지 못하다.
5) 아침저녁의 낮은 색온도의 붉은기를 제거하기 위해서푸른색필터를 써야 한다든지,
텅스텐 필름으로 태양광아래에서는 촬영해서 안된다든지 하는 지시는 물리화학적 법칙에 따른제시일 뿐이다.
이들 법칙을 어떻게 소화해서어떤 사진을 만들것인가는 오직 사진을 찍는 사람의 표현 목적과 능력에 따른다.
8. 필터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떻게 쓰이는가?
1) Morning & Evening Filter (Blue 필터)
엷은 청색필터로서 칼라필름용인데, 아침 저녁으로붉은광선(낮은 색온도)을 정상적인 색채발란스로 보정해준다.(색온도를 올려줌)
이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아침이나 저녁무렵에 정상적인 촬영을 하면 붉은 색이 낀 사진이된다.
메이커에 따라 서로 명칭이 다르다. (KENKO - C4, TOSHIBA -B20, B40)
2) Amber Filter
엷은 감색 필터로서 역시 칼라 필름용인데, 흐린 날이나 눈/비가 올때 짙은 안개가 끼어 있을때 색온도가 높아져 푸른색 사진이 나오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색온도를 내려 줌) KENKO - W4 , TOSHIBA - A20, A40
3) Sky Light Filter
1A 또는 1B의 기호로 부르기도 한다.
UV필터와 비슷한 기능을 하지만, 엷은 마젠타색을 띄고 있으며 노출배수는없다.
맑은 날 실외 야외 촬영시 그늘의 푸른기를방지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
1A와 1B 는 흡수곡선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실용상에는 큰 차이가 없다.
4) UV(Ultra-Violet absorbing) Filter
일명 Haze-Cut 필터라고도 하며 자외선 흡수 필터이다.
대기중에는 자외선이 있어 맑은날 원경을 촬영시 눈에는잘 보이지 않는 아지랭이가 사진을 뿌옇게 만드는데,
이 자외선을 차단시키는필터이다.
흑백/칼라 공용이며 노출배수가 없으며 렌즈보호를 겸해 사용하기도 한다. 일본 JIS규격에 L-39 필터로 표기.
5) Yellow Filter
흑백필름용 콘트라스트 필터. 동색계열의 피사체를 밝게하고 보색계열인 청색의 피사체를 어둡게 한다.
따라서 풍경사진에서는 푸른 하늘을 약간어둡게 하여 구름을더 하얗게 강조하고, 파아란 수면을 어둡게 하기도 하며,
노란색의 꽃을 밝에 부각시킨다.
황색필터는 Y1,Y2,Y3등으로 부르기도 했으나, 현재는 일본 JIS규격에 SY46-2C, SY48-2C, SY50-2C등으로 부른다.
(C는 코팅을 말함)
코닥에서는 Ratten No.6(K1=밝은 황색), No.8(K2=황색), No.9(K3=짙은 황색), No.12(황색=항공사진의 Haze Cut용), No.15(G=짙은 황색)으로 풍경사진의 콘트라스트강조용, 항공적외선 촬영 콘트라스트 강조용으로 쓰인다.
한편 오랜 고문서나 사진등 노랗게 바랜부분은 흑백사진에서 엷은 회색이 된다.
이때 Y필터를 사용하여 원고의 콘트라스트를 강하게 하기도 한다.
6) Yellow-Green Filter
흑백필름용이며, 단파장 과적색광의 일부를 흡수한다.
피사체의 색을 완전히 시감도에 맞출때나 질감을 잘 묘사하고자 할때 사용한다.
PO1또는 YG필터라고 한다.
7) Orange Filter
황색필터보다 효과가 강하다. 이 필터를 흔히 일본규격에 따라 D54, D56필터라고 하기도한다.
여기서 54는 540미리 미크론(mμ)보다 짧은 파장의 색광을 제거시키는 것을 표시한 것이다. - YA3 필터는 D54
8) Red Filter
흑백필름용의 콘트라스트 필터. Yellow나 Orange보다 강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는 보색인푸른색 계열을 차단시킴으로서 하늘색이나 바닷물색등 푸른색을 검게 표현시켜 준다.
(적외선 필름 사용시에도 사용가능)
9) Infrared Filter
적외선 촬영용의 짙은 적색 필터이지만 R-1필터로도 사용가능하다.
10) R-1 Red Filter
원경에 콘트라스트를 강하게 하고, 적외선 필름 사용시에 사용.
11) PO Filter or YG Filter
황녹색 필터. 인물촬영시 많이 사용한다. 피부색을 밝게 표현시켜준다.
12) PL Filter(편광필터)
칼라 흑백 공용필터. Polarizing 또는 Polar필터라고도 하며 폴라 스크린필터라고도 한다.
비금속 면에서의 반사편광을 컷트하거나 약하게 하는 필터로서 반사면에서 35도 전후로 촬영할 때 효과가 크다.
하늘의 색을 짙푸르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태양의 오른쪽 90도 하늘에 가장 효과가 있다.
그러나 편광필터를 이용한 하늘 색의 강조는 자연스러운 맛을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다.
( 조리개를 바짝 조여서 촬영하는 편이 더욱 자연스러운 효과),
유리면이나 수면에서의 반사편광을 없애고 또 비금속면의 반사를 제거하므로 질감이나 색채를 맑게 찍을수 있다.
노출 배수는 약 3배 정도이므로 촬영시 노출보정이 필요하며 ND필터의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카메라에 따라서는 대부분의 일반편광필터가 아닌 Circula PL 필터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SLR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들어 온광선이 반투명 반사경이나 분광 반사경에서편광을 일으켜 TTL노출을 재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는
PL필터가 2중으로 겹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로서 더욱 어두워 지기도 하여 잘못 된 노출이 나오기 때문이다.
(펜탁스 LX, ME-F, 미놀타 X-600, 알파시리즈, 캐논 F-1, NEWF-1, AL-1, T-80, T-90, 니콘 F-3AF, F501, 라이카 R-3, R-4, 올림푸스 OM-30, OM-, OM-3, OM-2, 기타 오토포커스 35 미리 자동카메라)
또한 편광필터는 항공촬영시 뛰어난 안개 제거용 필터로쓰이기도 한다.
또한 짙은 적색이나 청색필터와 함께 사용하면 낮을 밤과 같은 효과로 나타난다.
하늘이 매우 어두워져 밤과 같은 느낌이 나며,
노출을 줄이고 현상을 연장하는 방법을 쓰면 하늘은 구름에 비해 더욱 어둡게 묘사된다.
[주의점]
이 필터는 앞부분을 돌려가며 그 효과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어떤 렌즈 촛점을 맞추다 보면 앞부분이 돌아가게 되어있다.
특히 줌렌즈에 그런 것이 많다.
만일 앞부분이 회전하는 렌즈라면 먼저 촛점을 맞추고 효과를 확인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다른 필터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라면 필터의 테가 사진에 나오지 않도록 심도계를 눌러서 먼저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특수효과]
편광필터를 두장겹쳐 보면 재미 있는현상이 일어 난다.
돌리는 방향에 따라 필터가 어두워졌다 밝아졌다 한다.
가장 어두워 졌을때가 편광이 서로 직각이 된 경우이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입체영화를 만든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편광필터가 아닌 편광판(편광쉬트)를 이용한 것으로 이중굴절현상에 의해 반사하는물체에서 무지개빛이 돌기도 한다.
편광필터를 달고 비행기창을 통해 강이나 바다를 찍으면 기묘한 색의 사진이 나오기도 하는데,
그까닭은 비행기의 이중창문의 하나가 편광쉬트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13) ND(Neutral Density) Filter
칼라 흑백 공용필터. 중성회색의 필터로서 색윰렛> 몇분간에 걸친 극도의 슬로우 셧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고정된 것만 필름에 기록하여 복잡한 도시를 텅빈 거리로 표현할 수도 있다.
14) FL Filter
주광용 칼라 필름을 형광등 아래에서촬영하면 초록색이 잔뜩 낀 사진이 된다.
이것을 보정하기 위해이 필터를사용하며 슬라이드보다는 네가티브 필름에 효과가 크다. (fl-w)
15) Chromo Filter
컬러 이펙트 필터라고도 하며 특수 효과용 필터이다.
필터의 반쪽은 무색투명하며 반쪽에는 색깔이 들어 있는 필터를 말한다.
이는7가지(Blue,Brown,Red,Grayn,Green등)색이 있으며,각 색깔별로 농담이 다른 2가지가 있다.
*Vari Color Image라는 필터는 한 필터안에 여러가지의 색이 들어있다.
16) Cross Filter
무색의 광학 유리 표면에 가느다란 흠이 새겨져 있는 필터인데, 피사체의 강한 빛이 흠에 새겨진 여러가지 모양으로 빛난다.
역광 촬영의 태양, 야경 촬영시 불빛,헤드라이트나가로등, 샹들리에 등의 촬영시 효과가 크다.
홈에 새겨진 형태에 따라 Snow, Cross, Sunny 등이 있으며 크로스 스크린이라고도 한다.
*Vari Cross는 십자의모양을 짧게 하며, 형태를마음대로 변형할 수 있다.
17) Soft Focus Filter (연촛점 필터)
인물촬영시 부드러운 효과를내기 위한필터. 망사 또는 콜드크림을 일반 UV필터표면에 바름으로 대신 할 수도 있다.
18) Double Focus Filter
반원형의 클로즈업 렌즈를붙인 것인데,원경과접사 범위가 화면의 상하 또는 좌우에서 똑같이 초점이 맞는다.
Two Field Filter라고도 함.
19) Color Circle Filter
가운데는 구멍이 뚫려있고 주변에는 색깔이 있는 아크릴제 필터로서 특수효과용으로 사용되며 약 7종류의 색깔이 있음.
20) Center Image Filter
화면의 주변만 하얗게 흐려지게하던가 연조 묘사를 하기 위한 특수효과용의 필터로서가운데에 구멍이 뚫려 있다.
일명 center focus라고도 한다.
21) Mirage Filter
하나의피사체가 3중, 5중으로 찍히는 특수필터 3~6면까지 있으며 mirage는 일본Kenko의 상품명이다.
22) TV-CC Filter
텔리비젼 화면의 촬영시 청색계열의 색을 제거해주는 색 보정용 필터.
23) Magic Portrait Filter
인물 또는 전신촬영시특수효과를 연출하는 필터로 인물의상을 가늘게 혹은 뚱뚱하게 하는 효과를 낸다.
24)기타 효과 필터
검은 유리를 여러모양 (하트, 다이아, 원, 클로바)을 내 그 모양대로만 사진이 나오게 하는 필터와 한화면 내에서이중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만든 필터(필터의 반은 검정,반은 투명)등 그 종류는 수십종에 이른다.
이외에도 굉장히 많습니다만, 여기까지만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