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조 화가_소나무에서 삶을 찾다 사람과 더불어
2014. 4. 17. 18:49
http://blog.naver.com/car4972/50193030070
▲ 서양화가 이창조 작가는 동양화의 단골 소재이자 우리의 나무 소나무를 통해 삶을 관조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
이창조 작가(본명: 이창기)는 중고신인이다. 지천명의 나이에 프로작가의 세계에 뛰어들었다. 전시경력은 이번이 고작 두 번째이다. 그는 홍익대 미술대학 서양화과를 졸업한 후 줄곧 미술학원을 경영했다. 평생 그림과 함께 호흡을 했다고 자부하던 터라 두려움은 없었다. 학원을 그만두고 작업실을 구해야 하는데 마땅한 곳이 없어서 고민하던 중, 대형아파트를 싼 값에 전세를 얻는 행운을 가졌다. 아파트 방방마다 그림창고이다.
그의 부인에게 물었다. 미술학원을 접고 고되고 힘든 프로작가의 길을 허락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미술학원을 경영하면서 매양 그림을 그리고 싶다고 노래를 부르더라구요. 그 소리에 지쳐가던 중, 더 이상 늦어지면 평생 한으로 남을 것 같아 전업화가를 허락했어요. 작업을 하는 동안에는 발자국 소리도 방해가 된다고 해서 까치발로 걸어 다닐 정도에요.”
미술학원을 운영하다가 프로작가로 데뷔한 화가는 많다. 그럼에도 그는 늦은 감이 없지 않다. 하지만 주변에서는 오히려 자기세계를 진솔하게 표현하는 중고신인이 발전가능성이 많으므로 그것이 큰 강점이라고 한다. 이제 그는 그림으로 승부를 걸기로 했다. 평생을 그림과 함께 호흡하였기에 빠른 속도로 자기의 세계를 어필하고 있는 화가이다.
이 작가는 어릴 때부터 공부는 뒷전이었고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다. 그런 영향으로 형제들도 그림그리기를 좋아했다. 아버지에게는 “저 놈 때문에 자식농사 망쳤다”는 소리까지 들어야 했다. 그러던 그가 원광대학교에 입학하였으나 적성이 맞지 않아 자퇴했다. 상경하여 재수를 했으나 처음 들어본 과목이름이 있을 정도로 공부와 담을 쌓았던 자신을 발견했다.
각고의 노력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 입학한 그는 자기가 하고 싶은 분야를 전공하긴 했지만, 졸업 후에 닥친 현실은 그를 생업으로 내몰아 미술학원을 차릴 수밖에 없었다. “학원을 운영하는 동안은 그림을 그릴 수 없었어요. 그래서 언젠가는 전업화가, 프로화가의 길을 걸어갈 것을 다짐하곤 했는데, 나이 50을 넘어서야 그 꿈을 찾았죠.”
그랬다. 그의 말대로 소나무는 우리의 나무이고, 그만큼 친근한 나무이다. 차가운 아파트촌에서도 소나무가 가장 좋은 조경수이듯이 말이다.
반대로 솔잎은 시공이 정지된 듯 우리 앞에 또렷하게 자신의 모습을 드러낸다. 흐르는 세월 속에서 우리는 지금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느끼게 해준다. 이렇듯 우주 속의 나무, 소나무를 통하여 인간과 인간의 삶을 표현하고 있다. 인간 또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인 것처럼.
이창조 작가는 늦깎이 화가이지만, 그의 그림에서 발산되는 내공은 어느 프로작가에 뒤지지 않는다는 평을 받는다. 그의 작품에서 자기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것이다. 그것은 그가 살아온 세월의 두께가 진실됨을 의미한다.
▲ 이 작가는 개인전이 끝난 후 전국의 소나무를 찾아가는 소나무 트레킹을 계획하고 있다. |
“전시회가 끝나면 전국 곳곳에 숨어 있는 소나무를 찾아 트레킹을 하고 싶다”는 그의 소박한 희망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출처] 이창조 화가_소나무에서 삶을 찾다|작성자 풍수학인
이창조 초대展
2017. 3. 17(금) ▶ 2017. 3. 30(목)
서울시 종로구 평창36길 20 | T.02-396-8744
소나무 농사꾼
우리나라 해안이나 내륙에 자생적으로 자란 수목 중 상록 침엽수인 소나무가 있다. 해안과 내륙의 소나무는 품종이 같아도 자란 생김새가 다르고 크는 성장이 다르다. 어느 곳에서 흔히 볼 수 있어 귀하지 않을 수 있지만 유독 소나무만큼 함부로 취급하지 않는다.
조상들이 오래전 기원하는 산신 목으로 소나무를 선택하였던 것은 부정(不正)을 물리치고, 정화 시킨다고 믿었다. 또 출산을 앞둔 부모는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축하하고 잡귀와 부정을 막기 위해 금줄과 숯 고추 백지 솔가지 등을 준비 하였다. 오래 살기를 바래는 마음이 보태 졌을 것이다. 이렇듯 소나무는 개인의 출생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반려목이 되었다.
2017년 새해를 맞이하면서 유독 소나무가 그립고 기대고 싶은 이유들이 생겼다.
소나무는 역경 속에 푸르름 간직하고 꿋꿋한 절개와 충절을 의미한다는 것을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뼛속까지 새겨졌다. 소나무는 개인을 뜻하기도 하고 지도자의 자질을 언급하기도 한다. 때론 국가와 국민을 상징할 때 소나무의 강인함을 표현하기도 한다. 서두에 언급한 출생의 부정을 막기 위해 금줄에 솔가지를 걸었던 민족의 풍습처럼 이젠 집안마다 소나무 한그루 심거나 때론 작품 한 점 소장하려 했던 마음은 청빈과 경청하려는 삶의 자세와 교훈을 받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마음 자세를 바르게 할 즈음에 이른 것 같다.
나는 소나무인가 묻고 싶다. 소나무 같은 지도자를 간절히 바라는 국민의 염원이 절실해 본 적 있었던가. 국민이 소나무 같아야 소나무 같은 지도자가 나올 것이다. 국민이 소나무가 아니면 그 속에 어찌 기둥이나 서까래 대들보 같은 지도자가 나올 수 있으며 늘 건강하고 푸른 국가가 될 수 있겠는가.
작가 이창조는 평생 반려목으로 소나무 키우는 산지기이자 농사꾼이다.
작업실 풍겨나는 테라핀 원료가 송진이다. 외적 작업이 소나무라면 내적 작업은 신앙으로 평정심을 유지하면서 중도의 치우침 없는 작업이 푸른 엔진이 되었다. 자칫 고루할 수 있는 소나무가 현대 회화로 밀도 있는 채색과 속도감으로 긴장감을 끌어 올렸으며, 소나무 내면의 부정과 강직함만이 아니라 지친 삶을 풀어 주는 피톤치드 같은 에너지를 끊임없이 솟아나게 하는 힘의 원천은 낮은 자리에서 무릎 꿇고 기도하는 겸손한 성품이다.
작가 이창조가 바라는 건강한 소나무는 작가의 자화상이며 국민이며 지도자일 것이다. 이제 작가는 이 땅에 컨템포리한 소나무를 푸르게 가꾸고 키울 것이다. 변화에 흔들리지 않고 초연한 모습으로 푸르게 빛나는 전시를 함께 축하해 주십시오,
글 금보성
'인천in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영7길-철로변길3 (0) | 2019.02.21 |
---|---|
창영7길-철로변길2 (0) | 2019.02.21 |
창영7길-철로변길1 (0) | 2019.02.21 |
영희의 고향이야기 3 (0) | 2015.10.10 |
<'얼쑤' 삼산&갈산 임대단지 주민예술체험마당>&<'삼산, 사람을 만나다' 전시회> (0) | 2015.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