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버스를 기다리는 정류장에 노란 은행잎이 달려가는 바람에 후두둑 떨어졌다. 깜짝 놀랐다. 지난 밤에는 좀 더워서 잠못이루긴 했지만 어느 새벽녘에는 추워서 이불을 꺼내 덮기도 했다. 작업실 창으로 시원 바람이 달려든 것도 벌써 몇 주 전이다.

그냥 가을에 읽을 시가 뭐가 있을까 싶었다. 가을시, 가을에 읽으면 좋은 시, 가을에 어울리는 시 ... 이렇게 따라간 인터넷 검색창에는 김초혜, 류시화 .. 그리고 김남주 시인의 이름이 놓인다. 시인의 이름을 쫒아가니 <이 가을에 나는>이라는 시에 '눈물을 좀 흘렸다'는 백기완 선생의 시상으로 시작된 글을 퍼담아본다.


이 가을에 나는

이 가을에 나는 푸른 옷의 수인이다
오라에 묶여 사슬에 손발이 묶여
또 다른 곳으로 끌려가는

어디로 끌려가는 것일까 이번에는
전주옥일까 광주옥일까 아니면 다른 어떤 곳일까

나를 태운 압송차가
낯익은 도시 거리의 인파를 빠져나와
들판 가운데를 달린다
아 내리고 싶다 여기서 차에서
따가운 햇살 등에 받으며 저만큼에서
고추를 따고 있는 어머니의 밭에서
숫돌에 낫을 갈아 나락을 베고 있는 아버지의 논에서
빙둘러 서서 염소에게 뿔싸움을 시키는 아이들의 제방에서
내려서 그들과 함께 일하고 놀고 싶다
내려서 손발에서 허리에서 이 오라 풀고 이 사슬 풀고
내달리고 싶다 아이와 같이 하늘 향해 두 팔 벌리고
내달리고 싶다 발목이 시도록 논둑길을
내달리고 싶다 가슴에 바람 받으며 숨이 차도록
가다가 목이 마르면
손으로 표주박을 만들어 샘물로 갈증을 적시고
가다가 가다가 배라도 고프면
땅으로 웃자란 하얀 무우를 뽑아 먹고
날 저물어 지치면
귀소의 새와 함께 집으로 돌아가고......

그러나 나를 태운 차는 멈춰주지 않고
들판을 가로질러 역사의 강을 건넌다
갑오농민들이 관군과 크게 싸웠다는 황룡강을
여기서 이기고 양반들과 부호들을 이기고
장성갈재를 넘어 전주성을 넘보았다는
옛 쌈터의 고개를 나도 넘는다.
이 가을에 나는 푸른 옷의 수인이 되어.

                                                                                        김남주 http://myhome.naver.com/vgnews/siindle.htm


나는 박정희의 반공교육과 전두환-노태우의 군부정치, 그들이 보여주고 싶은 것들만 보고 자랐다. 백마장 근처에서 난리가 났다고 하는데 그때 나는 부평여자고등학교에 다녔는데 아무런 이야기도 듣지 못했다. 참교육 어쩌고 하던 때인데도 .. 우리 학교에는 그런 말 한마디 건네는 교사가 없었다. 참나 ....
마땅히 신문과 TV가 아니면 세상을 만날 수 없었고, 가난한 마을에 민중들이 신문을 보는 일은 더더욱 어려운 일이고, 드러난 세상의 이면을 만날 수 있는 일은 없었다. 세상은 너무 완벽했서 열여덟 여고생의 꿈이 깊은 숲에 작은 집 짓고, 텃밭 갈아 먹고살고, 시 쓰며, 난 치며  가끔 찾아오는 지인들과 거칠고 소박한 음식을 나누며 긴긴밤 이야기를 나누는 삶이였다.
그러나 세상속에 발을 딪자마자 진실을 가린 벽은 너무도 쉽게 무너졌다. 너무 많은 거짓은 진실을, 사실을 접할 수만 있다면 아무것도 아닐 수 있다는 걸 깨달았다. 다행이다.
온갖 미디어가 대기업과 낡은 수구보수파의 손에서 진실을 가리고 있는 요즘, 그래도 인터넷이란게 있어서 진실이 손아귀 속에 물처럼 흘러 사람들 사이에 실개천을 이룬다. 지난 9월 초까지 O3훈을 가리는 표적수사 곽노현, 안철수에 강호동까지 ... 그 사이에 숨겨진 이야기들이 한가위 밝은 달아래 넘쳐 흐른다.

이 가을, 바람 좋은 창가에 앉으니 시詩 한 수 읽으며 호젓이 여유를 부려보려 했는데 후두둑 떨어지던 노란 은행잎 저편으로 푸른 옷의 수인이 된 시인이 역사의 강을 건너고 있었다. 너무 많은 고통의 언어들 반복되어 그러면 안되지만 .. 기어이 무뎌져가는 가슴이 부끄러울 뿐 .. 그저 고통스러웠으려니 그저 아프고 슬펐으려니 할 뿐인 마흔의 어린 백성이 부끄럽고 부끄러워 ... 다시 묻는다. 어떻게 살 것인가? 

+ Recent posts